CHINEASE STUDIES
비상계엄 국면의 반중 증오정치 메모
에페메라
2025. 3. 10. 17:44
메모.
아래 한겨레 21 탄핵반대 오픈톡 참여 관찰 조사보고서를 흥미롭게 보았다. 최근의 탄핵반대 오픈톡에서 '중국'관련 어휘 빈도 등을 조사한 건 흥미로움.
이에 대한 분석으로 여러 전문가들 의견이 후속으로 제시되는 데 너무 여러 사람 논의가 나열되어 있어서, 다소 초점화가 안되어서 그럴수도 있는데. 의문점도 있어서 메모를 남겨둠.
특히 최근의 탄핵 전후의 증오정치를 소수자 대상 증오정치와는 다른 흐름으로 해석하려는 경향과 그 타당성에 대해서 연구자로서 질문과 문제의식을 갖고 있음. 시의성이나 긴박성 등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그걸 의도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정당화하는 건 또다른 문제라는 생각.
1. 이런 점에서 탄핵반대 집단의 반중 증오정치와 기독교의 결합을 논하면서, 기존 반동성애 증오정치가 한국사회에서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는 김진호 선생님 분석 인용은 다소 어리둥절한 느낌이다.
기사 인용
김 이사는 “원래 개신교가 혐중 담론을 주도한 건 아니다. 그런데 최근 개신교에는 콘텐츠가 없다”며 “동성애 혐오는 개신교를 결속하는 데 중요하지만 한국 사회에 영향력이 많지 않고, 공산주의 혐오도 임팩트가 있지 않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서 먹히는 담론을 개신교가 임의로 활용한 것 같다”고 했다.
---인용 마침
물론 2020년 나온 <<혐오와 한국교회>>에서도 김진호 선생님은 4.3을 중심으로 미국화에 초점을 두긴 했고, 반동성애 증오정치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이 없었다는 점에서 일관된 것이라고도 하겠다. 그러나 기독교와 증오정치 관련 논의는 2020년 <<혐오와 한국교회>>의 전반적 논의에서 오히려 퇴행한 듯한 분석이다.
이 책에서 최종원 선생님의 <한국 기독교: 시민 종교와 정치 종교 사이>를 나는 이전 논문 <K적인 것의 기원과 K 차별>에서 인용하며 논한 바 있기도 하다. 파시즘을 정치종교라는 차원에서 해석해온 역사가 있고, 그 연장에서 한국형 파시즘과 기독교 문제를 다룬 흥미로운, 중요한 연구이다.
제 연구는 주로 풍속 통제와 파시즘의 유산에 초점을 맞춰왔는데 이는 소수자를 억압하는 것 뿐 아니라,통제 이념 자체가 파시즘 법제의 전형적 유산이자 재생산 기제가 된다는 점을 오래 비판해왔다. 일부만 소개해보자면
논문 내용
사회통념상 부적절한 행위를 한 자로 간주된 자는 시민으로서 권리도 박탈되며, 국민(천황의 적자)으로서 자격도 박탈된다. 즉 조선에 적용된 사회통념 기준의 법적 판단 기준이란 천황의 적자로서의 적절함을 판단하는 기준이기도 했다.
즉 사회통념이란 천황제 파시즘의 전형적 유산으로서 근대 국민 국가의 일반 원리로서 세속화(정치와 종교의 분리)와는 다른 정치와 종교의 독특한 결합에 의한 ‘국체’를 구성했다.
천황제 파시즘이 냉전 시기 일본에서는 상징 천황제로 잔존했다면 한국에서는 냉전 종교인 반공과 전향의 사상적 기구가 된 종교(교화 기구의 역할을 자임한 종교 기구)가 결합한 냉전의 정치-종교 결합체로 변형되었다.
권명아, <K적인 것의 기원과 K 차별>, 석당논총, 2021
2. 현재 반중 증오정치가 트럼프 2기 영향이라면, 이는 일본도 마찬가지이다. 이미 1기에도 그랬고, 그런데 일본의 경우 같은 영향권 안에 있어도, 중국보다 북한이 증오정치 대상으로 더 강력하다. 그리고 국가 대상의 증오정치와 재일 거주자에 대한 증오정치의 연루 강도는 혐한이 더 강하다.
2022년 나온 히구치 나오토의 연구에 따르면 일본에서 혐중과 혐한의 차이는 혐중 정서가 재일 중국인에 대한 배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혐한은 재일 코리아인에 대한 배척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라고 분석했다. 또 혐중(국가 대상)에 비해 혐한이 다소 완화되는 가장 큰 이유로 문화적 교류(K-문화)와 함께 무엇보다, 젠더 인식(한국 페미니즘에 대한 선호도와 관심)의 역할이 크다고 분석했다.
아래 기사에서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트럼프의 영향을 논하는 데 일본, 한국, 미국, 중국을 비교해보면 트럼프의 영향이라는 분석은 그냥 원론적 분석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일본도 트럼프 영향을 받았는데 여전히 북한을 더 증오하는 건 왜인가?
하여간 아래 기사의 전체적 논조는 최근의 증오정치, 혹은 극우화를 '소수자 대상 증오정치'와 다른 방향으로 해석하고 이에 따라 대안 행위자성도 소수자 정치와 다른 방향으로 구축하려는 그런 방향성과도 관련되는 듯싶다. 물론 시국의 긴박함이 크겠으나.
그래도 이런 때일수록, 정리를 좀 해두고 싶어서 남기는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