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licewonderland

홈파이어스와 잼버스터스: 1939~1945년의 여성 조직들 본문

대안적 지방담론과 정착민 식민주의

홈파이어스와 잼버스터스: 1939~1945년의 여성 조직들

alice11 2024. 5. 25. 18:51

<홈파이어스> 시즌 1(웨이브)

 

 

 

 

 

<홈파이어스> 시즌 2, 2016

 

드라마 초반에 이 작품은 <잼버스터즈>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궁금해서 찾아봄. 

1939년에서 45년 사이 활동한 영국의 여성 단체를 찾아서 기록하고 구술한 작업. 

<홈파이어스>에서도 여성 단체들 사이의 다양한 입장과 갈등이 세밀하게 드러나서 흥미로웠다. 

 

당대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레즈비언 커플을 역사적 사실과 연결해서 그려낸 것도 흥미로웠다. 한편으로는 요즘 역사극의 클리세로 볼 수도 있지만. 

 

전쟁, 국가와 지역을 지킨다는 입장, 전쟁을 둘러싼 성차와 계급 차이가 잘 드러나는데. 이 지역에는 오로지 백인들만 살고 있다는 건 드라마에서 거의 고려되지 않는다. 인종적 차이를 비가시화하는 흥미로운 텍스트이기도 하다. 현재 이 지역은 어떨까? 영국이 역사를 그리는 데 미국과 비교해서 심각할 정도로 인종차별적이라는 논의를 환기해볼 때 여기서 그려지는 지역-여성이 경험한 전쟁의 역사란, 오늘날 영국의 인종차별적 역사 아카이브를 전형적으로 반복한다는 점. 

 

한국의 역사 아카이브에 대해서는 이런 질문조차 제기되지 않고 있다. 

 

지식의 순환이나 문화 콘텐츠 순환에서 이제 아카이브와 플랫폼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서 실시간 상호 참조와 비교가 가능해졌다. 

 

앞서 살펴본 <아프리카의 존재들을 기념화하기와 애틀랜티 세계에서의 존재 되기: Yaa Gyasi and Bernardine Evaristo에 의한 정동적인 허스토리들> 역시 이런 연구의 하나이다. 필자인 Caroline Koegler는 독일 학자이면서 영어로 글을 쓴 카리브(Anglophone Caribbean) 퀴어-여성 작가를 연구한다. 매우 흥미로운 연구를 하시고, 최근에는 <<정동으로서의 책과 네트워크로서의 소설>>이라는 단행본을 출간하기도 했다. 

 

한국에도 영어로 글을 쓰는 카리브 여성 작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레이스 니콜스 역시 그런데. 거의 유일한 연구인 김은영의 논문 "여성의 몸에 새겨진 노예들의 합창 그레이스 니콜스의 나는 오래된 기억을 지닌 여성." (영어영문학21 30.3 (2017): 29-51.)이 있다.

 

김은영은  이 논문에서 영국에서 카리브 출신 작가들은 19세기 이래 현재까지도 가치 폄하당했고 그레이스 니콜스(1950~)1983년 <<나는 오래된 기억을 지닌 여성>>으로 커먼웰스 시 문학상을 수상했고 영국의 영어 정규 교과과정에 포함되었지만 연구는 드물다고 전한다. 영국에서 유색인 여성 영국 작가는 거의 연구되지 않는데 이는 미국에서 토니 모리슨이나 마야 엔젤루와 비교해보면 큰 차이가 있다.

국내에서도 1992년 노벨상 수상 작가인 데릭 윌콧의 <<오메로스>> 연구가 중심이고 그 외 카리브 출신 여성 시인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한다.

 

 

 

 

 

 

 

 

 

 

https://a.co/d/hjgC2uf

 

Jambusters: The Story of the Women's Institute in the Second World War

This is the compelling true story of how the Women's Institute pulled Britain through the war with pots of jam and a spirit of make-do-and-mend.

www.amazon.com

 

 

https://www.goodreads.com/book/show/13544316-jambusters

 

Jambusters: The Women's Institute at War 1939-1945

The Second World War was the WI's finest hour. The whol…

www.goodread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