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드라마 연인#여성 수난사 이야기#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초국가적 문화사
- 류장하 감독
- 정만영 #사운드스케이프#안으며업힌#이정임#김비#박솔뫼#곳간
- 정도적 불평등
- 송가인
- 미스터트롯
- 대중정치
- 노인돌봄
- 젠더비평
- 입신출세주의
- 플렉스
- 2020 총선
- 뷰티플 마인드
- 미스트롯
- 안으며 업힌 #이정임 #곳간
- 해피엔딩
- 장애학
- 조국
- Today
- Total
목록여성주의역사학/문화번역 (2)
alicewonderland
숙제 삼아 휴식 삼아 몰아보기, 이후의 노트 *노트라서 일관된 '평가'나 '해석', 이미 종결된 해석이나 평가의 기록이 아닙니다. 비평은 그런 종결성을 내파할 때 비로소 출현하는 것이기에, 원론적 이야기일 수 있겠지만요. 1. 이야기는 어떻게 프로젝트가 되는가 학교는 사회가 아니다. 이는 포함이나 크기의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 사회를 학교로 만들고자 했던 대표적 프로젝트가 파시즘이다. 후지타 쇼오조가 전체주의 혹은 역사적 파시즘을 사회를 학교로, 국가를 학교로 만들고자 했다고 비판했을 때의 의미. 그런데 이런 방식은 파시즘이 만든게 아니다. 파시즘은 아무 것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이미 존재했던 것을 안티테제로 재구성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야기(서사handlung)는 현실을 반영, 생산, 재구성하지만 ..

영화 (이해영 감독, 2023)은 아직 보지도 않았는데, 탐라의 평을 보니, 벌써 망한 걸까? 몇몇 평이 있던데 내 관심 주제와 관련한 자료는 없는 듯. 의 원작인 중국 소설 麦家(마이지아)은 한국어로는 번역이 안되었다. 원작은 2007년에 출간되었다. (《风声》是当代作家麦家创作的长篇小说,发表于杂志《人民文学》2007年第10期,首次出版于2007年10月)。 영어로는 2020년 번역 출간되었다. 중국에서는 영화로 만들어진 게 2010년 중국 영화 를 보았다. 부산국제영화제 2010년 폐막작이었다고 하던데. 1. 역시 영화를 보고나니, 더욱더 원작 소설을 보고 싶다. 원작 소설에 대해 이라는 평이 중국 비평의 핵심인 것 같던데. 서사력이라는 표현이 딱 맞는 듯. 서사력!!!! 2. 중국 항일 서사는 잘 모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