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licewonderland

걸 페미니즘: 청소년인권+페미니즘 본문

카테고리 없음

걸 페미니즘: 청소년인권+페미니즘

alice11 2018. 2. 6. 12:44

읽기 전 공유.

수업이나 학부생들과 읽어보려 참고.

학부 지도학생 중 베트남에서 유학온 여학생 3명이 있는데, 항상 마음이 쓰인다. 이제 벌써 3학년. 처음 입학했을 때, 그렇게 좋아하던 한국에 오게되서 정말 눈이 똥그래졌더랬는데, 몇달만에 얼굴이 흑빛이 되어갔다.

구체적인 이야기는 잘 안하더니, 최근엔 힘든 이야기를 하곤 하는데.

아르바이트 하며 겪는 인종차별+성차별 때문에 너무 힘들어하고. 친구를 사귈 수 없는 학교 생활에 힘들어하고.

인종차별에 대해서는 함께 많은 이야기를 더 나워야하고, 성차별에 대해서는 또래 한국 여성들이 겪는 경험에 대해서도 조금 들려주었는데.

역설적이지만, 자기만 겪는 일이 아니고, 한국 사회에 만연한 일이라는게 조금은 힘이 되었다. 나만 겪는 일이 아니라는 게, 베트남에서 왔기 떄문만은 아니라는게, 말도 안되지만,ㅠㅠ

그러나 베트남 유학생들이 겪는 성차별은 한국 여성 일반이 겪는 성차별과도 매우 질적으로 다르다. 공부 잘하고, 한국을 좋아해서 유학온 학생들이라, 한국에 대해 좋지 않은 이야기를 안하려 한다. 그게 더 속상하다.

이 책을 보니 그 친구들이 떠올라서, 같이 읽어보려고.

그 친구들이 이런 책 중에 한 꼭지를 쓴다면 어떤 글을 쓸까, 쓰고 싶을까. 그런 이야기를 나누며 같이 보고 싶다. 그리고 글을 쓰게 되면 좋겠다.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2494448








과거부터 청소년인권을 이야기하고 청소년운동을 해 온 활동가들, 그리고 2016년 출범한 ‘청소년 페미니즘 모임’ 등을 비롯하여 새롭게 청소년 페미니스트로 나선 이들이 글을 썼다. 청소년 당사자의 입장에서 쓰인 경험과 느낌과 생각들은 생생하고 구체적이다. 나아가 이 책을 통해 청소년인권과 페미니즘의 언어를 익히고 자신의 경험을 재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사회의 차별과 폭력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진 독자들에게는 이 책이 우리 사회의 여성과 청소년들이 어떤 현실에 처해 있는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를 기대한다.

《걸 페미니즘》은 한국 사회를 뒤흔든 페미니즘의 물결 속에서 태어난 새로운 시도이며, 여전히 세상이 충분히 귀 기울이지 않고 있는 청소년들의 말이기도 하다. 책 속에는 세상이 정하는 모습으로 살지 않고 ‘나’로, 페미니스트로 살고자 하는 청소년들의 이야기가 묵직하게 채워져 있다.

책을 펴내며 
여성으로, 청소년으로 나답게
살아갈 수 있는 권리를 위해 • 양지혜 ······ 8


1부 여성으로 길러지다

‘착한 여자 아이’로 길러지다 ······ 16
우리는 왜 ‘오지랖’이 넓을까 • 난다


나의 몸은 나의 것 ······ 25
2차 성징과 ‘소녀 판타지’ • 양지혜

감추고 부끄러워할수록 안전할 수 없다 ······ 34
여성 청소년이 마주한 생리대 파동 • 이기

나의 모습 나의 옷으로 자유롭게 ······ 40
내 몸과 외모에 대한 평가와 유예는 그만 • 유예

부끄러운 것이라고 지워졌던 나의 욕망 ······ 51
여성 청소년이 자위하는 게 뭐 어때서? • 봄

‘사랑’이라는 이름의 폭력 ······ 57
가족 안의 폭력을 직시하다 • 태양

종속된 삶 ······ 65
성소수자로서 가족 안에서 살기 • 봄다

엄마와 나 ······ 72
엄마와 딸이 자신의 삶을 살기 위해 • 알랑

2부 학교는 차별을 가르치는가

여자다워야 하는, 섹시해선 안 되는 ······ 82
용모 규제와 연애 규제는 무엇을 가르치나 • 쥬리

여성으로서 학교 체벌을 거부한다 ······ 94
‘덜 맞고’, ‘잘 못 때린다’고 생각되는 우리들 • 난다・한낱

오직 취업을 위해? ······ 102
특성화고 취업 준비 속의 외모 억압과 성차별 • 담

여학생은 성적이 ‘너무’ 우수하다? ······ 110
‘여학생 상위 시대’론에서 무엇을 읽어 내야 하나 • 한낱

나 자신을 숨기지 않고 살고 싶다 ······ 118
성소수자 청소년의 학교 생존기 • 꼬께

위계화된 학교, 그 속에서의 억압 ······ 126
학교의 차별적 문화와 성교육 • 느루

페미니즘의 또 다른 당사자 ······ 134
트랜스젠더퀴어 청소년의 학교 안팎의 삶 • 이제

페미니즘을 만난 남학생 ······ 142
남학교 청소년이 바라본 여성혐오 ① • 조행하

여성혐오와 청소년-남성 ······ 155
남학교 청소년이 바라본 여성혐오 ② • 이승엽

3부 세상 속에 살아남기

여성 청소년이 알바를 하면 ······ 174
나의 임금 노동 연대기 • 피아

내게도 밤에 안전할 권리를 ······ 186
여성 청소년도 두려움 없이 다니고 싶다 • 치리

집을 나와 살아남은 나의 이야기 ······ 193
거리에서 살다가, 또 다른 가족을 찾아서 • 곰곰

나만의 경험이 아닌 경험 ······ 204
서랍 속에 묻어 뒀던 성폭력의 기억 • 라일락

‘시크한 차도녀’가 될 수 없는 나의 담배 연기 ······ 217
흡연하는 여성 청소년의 이유 • 윤티

사랑해서 그런다고 말하지 마라 ······ 224
‘지켜 줘야 할 순수한 아이’와 ‘용납할 수 없는 청소년들’ • 밀루

청소년에게 정말 해로운 건? ······ 234
여성 청소년 동성애자의 이야기 • 곰곰

나는 나의 삶을 선택했다 ······ 241
임신 중절의 경험, 그리고 낙태죄가 폐지되어야 할 이유 • 라일락

4부 당신들의 ‘소녀’, 그 너머

소녀 착취 산업, 걸 그룹 ······ 258
여성 아이돌, 그리고 소녀에게 요구되는 것들 • 아고

나를 보는 새로운 방법 ······ 267
여덕의 여성 아이돌 덕질 희망편 • 달아

여성 청소년을 위한 콘텐츠는 없다 ······ 277
소녀는 왜 소년 만화를 보는가 • 호야

여성이 지워진 세계에서 만들어진 여성의 포르노 ······ 293
야오이/BL에서 소녀들이 만나야 했던 이유 • 엠건

‘소녀’는 인격체일 수 있을까 ······ 304
2010년대 한국 영화 몇 편 속의 여자 어린이들 • 쥬리

‘촛불 소녀’를 넘어서 ······ 312
정치하는 여성 청소년 • 뽕브라


글의 출처 ·······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