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2

<'민주화 이후' 등장한 전형적인 한국형 헤이트 스피치: 맞불집회>

이즈음의 여러 문제를 함께 생각하기 위해 헤이트 스피치와 파시즘 연구를 조금씩 공유하고자 합니다.또다른 증오선동을 막기 위해 관련 기사나 자료는 익명으로 여기 올려둡니다. 원 출처는 맨 밑에 알려드리는 논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맞불 시위’는 주로 극우 세력에 의해 민주화를 향한 소수자 운동에 반대하고 민주화에 역행하기 위한 시도를 ‘다양한 입장’으로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형식이다.“맞불 시위”라는 명명은 2003년 노무현 정권 당시 이라크 전쟁에 한국군을 파병하는 것을 반대하는 진보 진영의 연이은 시위에 대해, ‘보수 단체’가 주최한 “파병 찬성 긴급 궐기 대회”를 보도하면서 이를 “맞불 시위”라고 칭하면서 등장한다. ..

차이나 어펙트, 2025 리츠메이칸 발표

리츠메이칸 코리아 센터+동아대 젠더어펙트 연구소 공동 연구 심포지엄 제 2회가 2025년 2월 16일 열립니다. 저희는 내일부터 관련 워크샵을 위해 쿄토로 출발합니다.2015년 연구년을 맞아 리츠메이칸 대학 코리아 센터에서 1년간 를 수행했고, 그로부터 10년이 지났습니다.저는 이번에는 에 대해 발표를 합니다.사상 통제와 풍속 통제라는 맥락에서 한국근현대사를 볼 때 사상 통제가 풍속 통제로 전환되는 특징적인 시점이 등장합니다. 이 지점이 파시즘이 체제로 구축되는 전환점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대표적으로는 일제시기 전시동원 체제, 냉전시기 반공주의에서 연좌제의 등장입니다. 예를 들어 전시동원 체제 이전, 풍속 통제 대상은 '정치적으로' 무의미하거나 가치가 없는 존재였습니다. 무엇보다 '정보생산'의 측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