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licewonderland

가족 그리고 그 너머, 210328 본문

연결신체이론/연결성

가족 그리고 그 너머, 210328

alice11 2021. 3. 28. 13:16

한국에서 '가족'은 계급재생산의 토대가 아니었던 적이 없다. 근대 체제 이래 가족의 역할이 젠더화된 생산-재생산 구조를 지탱하고 지속하는 것이었으니 말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가족은 또한 가족 국가주의를 지탱하고 재생산하는 최초이자 최종심급이다.

가족 국가주의의 특징은 복잡하고, <<가족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시작으로 일제 시기 가족 국가주의(역사적 파시즘)와 그 유산(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에 대해서도 꽤 오래 연구해왔다.

가족 국가주의는 국가와 '가족' 사이에 시민사회라던가 제도, 사회적 안전망, 다양한 헤게모니 기구 등의 여지를 거의 없애고, 국가와 가족이 얼굴을 맞대야하는 사회 시스템을 만들었다.

달리 말하면, 모든 것을 가족이 맡아야 하는 그런 사회말이다.

그 많은 유가족 협의회의 존재, 아직도 싸우고 있는 세월호 유족들.

'민주화'란 국가 폭력 진상을 규명하는 일 뿐 아니라, 가족과 국가가 맨얼굴을 맞대야하는 이런 관계성의 양식을 변화시키는 일이었다.

그리고 이른바 '싱글라이프'(단지 1인가구 만이 아닌, 그간 한국사회에서 지배적이지 않았던 특이한 삶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정치'가 요구된 것은 이런 맥락이기도 하다.

이른바 국민의 정부, 참여 정부 이후 '싱글라이프'에 대한 새로운 정치와 제도화에 대한 요구가 폭발한 것도 이런 맥락이라 하겠다.

그러나 이런 싱글라이프에 대한 새로운 정치와 가족 국가주의를 넘어서 삶에 대한 새로운 결속 원리를 '새로운 삶을 위한 사회적 모델'로 만들어달라는 요구는 아직도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땅과 자산을 물려주던 계급 재생산 방식은, 분양권과 학력자본, 사모펀드와 기회 자본을 물려주는 방식으로 변화했을 뿐.

재벌가의 오랜 예에서도 드러나듯이, 역설적인 건 가족이 계급 재생산 도구로 작동할 때 혈연적 결속이나 결혼의 형식 자체가 꼭 핵심을 이루지는 않는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그럼 전 제 아내를 버리기라도 해야합니까"라고 냉전 가족 국가주의 입들을 향해 외쳤을 때 그건 '조강지처'를 지키는 자의 '인륜'이 아닌, 바로 이런 가족 국가주의(연좌제가 상징하듯)의 반복을 끊어내는 결단이었고 그렇기에 윤리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

부산엔 이미 십년 넘게 고독사가 최고 심각한 문제다. "조강지처"에 "친아들"이 없어서 생긴 문제도 아니다.

고독사, 무연고사

가족이 계급 재생산의 토대이고 자본이고,

거대한 울타리인 사람들과

가족이 언제나 마음의 짐이고, 현실의 무게이고

혹여 부담을 줄까 생의 마지막까지 연락조차 하지 않고 살아야 하는 사람들

왜 이런 삶이 도래했는지 그리고 그 삶과 죽음의 문제를 어떻게 마주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지

정치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그런 질문을 해야하는게 정치가 아니겠나?

이건 또 지식인만의 문제도 아니다.

정말 이곳에는 '다른 삶에 대한 대안과 고민과 비전'이 필요하다.

언제까지,

선거는 전쟁이고,

자신은 선수고,

선거에 정치니 윤리니 이야기하는 건 아마추어라고

언제까지 그럴건가.

지식인들이여.

그러고도 인문학 전공자라고 내세울수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