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licewonderland

<부일시론5회> 청년 이탈 100%를 향해 진격하는 부산시 본문

맞섬의 geography

<부일시론5회> 청년 이탈 100%를 향해 진격하는 부산시

alice11 2014. 10. 27. 12:16

부산문화재단 민간 이사장 선임 논란에 대해, 나름으로 고민해본 글이다. 

부산에 대해 말을 하는 게 여전히 '이주자'인 주제에 말을 꺼내기 고민스럽지만


부산의 상황이 어려운 것은

토착의 유착관계는 질긴데, 관계성은 형성되지 못하거나, 재구성되지 못한다고 할까.

엄청난 스펙타클을 자랑하는 불꽃 축제가 불꽃의 허망함이 아니라, 저런 스펙타클 뒤에, 혹은 아래에

이른바 문화적 저변이 깊어지지는 않는 기이한 축적불가의 상태라고 하면 과도한 진단일까?


개인적 경험을 비춰보자면, 처음 연구모임을 시작할 때, <달랑 벽돌 하나 들고 집을 지어야하는 상태, 그리고 그 막막함>에 대해 계속 생각했는데, 그 상태가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처음 연구 모임 시절, 앞서거니 뒤서거니 시작된 대안적 모임들도 크게 다르지 않은 듯하다.

물론 문화재단이 생기면서 이러저러 제도적 지원 속에서 성장한 경우도 많다.

나는 이게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제도화에 대한 문제의식이 휘발되는 것을 경계할 필요는 있겠지만, 현재 상황이 그런 경계가 필요할 정도로 낙관적인 것 같지는 않다.


정권이 바뀌면, 관변 단체장이 따라 요동치는 게 어쩔 수 없다지만


단체장이 바뀌어도, 이래저래, 좀 움직일 여지가 있는 서울과 달리

부산의 경우는 그럴 여지가 전혀 없다.


그리고 그럴 때마다, 모든 걸 초토화시킨다. 텃밭은 밟고, 싹수는 밟아버리고. 

그렇게 지역은 또다시 중앙의 식민지로 거듭난다.

공허하게 터지는 불꽃이 나에겐 항상, 식민지의 휘황한 불빛처럼 보이는 건, 과도한 심상인지도 모르겠으나. 


한번도 뵌적은 없으나, 동아대 국문과의 동문이자 대선배이신 분과 관련된 문제이지만, 

학연의 유착보다, 함께 만들고 살리는  문화를

자기 영역 내의 사람과 몫을  다투는 고착적 패러다임이 아니라,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친구와 동료와 후배를 함께 키우고 돌보는 새로운 관계성을 제시하는 것이 이 불모의 땅에서 그래도 공부를 하고 문화를 다루는 사람의 하나로서 취해야 할 태도라고 생각한다. 혹여 동아대 국문과 친구들이 마음 상하는 일이 없기를^^




원문은 여기.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41027000095



청년층 도시 이탈 비율 100%를 향해 진격하는 부산시

 

권명아

 

미래를 달라는 청년들

2012년 부산시의회는 부산 청년대학생 정책욕구 조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부산에 있는 대학에 다니는 학생 중 졸업 후 부산에 계속 거주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학생은 51.2%에 불과하다. 또 이 조사에 따르면 부산 청년 대학생들이 부산에서 개선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점으로 꼽은 것은 인적 자원 개발 프로그램과 일자리 창출 노력이다. 달리 말하면 현재 부산 지역 청년 대학생들에게 부산에서 자신들이 어떤 인력으로 성장할지 미래를 그려낼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는 청년들의 일자리에 대한 불만이 일자리가 적다는 식의 양적 문제가 아니라, 내가 커나갈 수 있는 미래적 전망을 가진 일자리가 없다는 불만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 조사에서 많은 학생들이 월급 때문이 아니라, ‘미래때문에 서울과 수도권으로 가고 싶다고 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생각할 수 있다. 즉 청년들에게 부산에서의 자기 삶의 미래가 보이지 않는 것이다. 이는 청년들이 부산시의 인력 정책에 대해 다양성, 비전, 변화 가능성과 진취성과 같이 사람을 키우는미래적 전망을 요구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청년들은 부산시에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상상력을 달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청년들이 부산에서는 주체적인 미래를 만들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어려운 말이 아니다. 부산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영역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는 것은 누구인가? 서울이나 수도권과 비교해서 부산이 젊은 세대가 주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이 거의 없다는 것은 굳이 통계가 없이도 실감할 수 있다.

청년들이 자기 미래를 꿈꿀 수 없다는 것은, 달리 말하면 지역에 자립적 삶의 가능성이 없다는 의미이다. 미래는 꿈꾸는 것이다. 즉 미래란 그저 물리적 시간으로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지금과는 다른 삶을 꿈꿀 수 있는 자립과 주체적 삶에 대한 열망으로 도래하는 것이다.

 

 

미래를 키우는 일, 부산 문화재단의 존재 이유

청년층의 부산 이탈에 대해 부산시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또 청년층의 부산 이탈에 대한 논의가 부산의 인구 감소를 걱정하는 인구 통계학적 관점이 아니라 지역의 삶과 문화에 대한 성찰로 진전된 것도 최근의 일이다. 부산 청년 창업 지원센터 추진이나 부산 청년문화 육성 조례(2013522) 제정은 이러한 정책적 관심이 확대된 결과이다. 부산 청년문화 육성 조례의 경우 지역의 자립과 주체적 삶에 대한 열망을 청년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에서 구하려는 정책적 반영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실상 이 지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문화 정책이기도 하. 문화(culture)의 원뜻이 키우다’(cultura경작하다)라는 문화 이론의 원론을 새삼 거론하려는 것만은 아니다. 문제는 실질적 차원에 있다.

예를 들어 부산시 의정지원 자료인 부산문화재단 비전, 핵심가, 추진 방향 분석(2012)에서는 인재들의 역외 유출을 부산시가 처한 총체적 위기 상황의 핵심 요인으로 진단하고 있다. 그리고 부산문화재단의 존재 이유는 이와 같은 총체적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문화 분권의 초석을 놓는 일이라고 논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부산문화재단의 존재 이유는 문화 사업에 국한되지 않고, 부산의 자립적 삶의 기반과 문화주권을 정초하는 데 있다. 또 앞서 인용한 자료들은 부산시 자체에서 수립한 정책 자료들이다. 그런 점에서 최근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부산문화재단 민간 이사장 선정 문제는 단지 문화계의 진영 문제나, ‘인물품평에 국한된 일이 아니다. 오히려 부산문화재단 민간 이사장 선정 논란을 이런 방향으로 이끄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제기하지 못한 채 공전할 가능성이 높다. 부산문화재단 민간 이사장 선정 논란의 핵심은 부산시가 청년들이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도시, 즉 자립과 주체적 삶이 가능한 지역을 만들겠다는 정책적 기조를 스스로 배반한 꼴이 되고 말았다는 점에 있다. 그런 점에서 부산문화재단 민간 이사장 선정의 문제점은 부산시가 그간 추진해온 정책 기조를 스스로 부정해버린 데 있다. 인사가 정책을 부정해버린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제 청년 이탈 100%의 기록을 세우는 일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