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젠더비평
- 미스트롯
- 정도적 불평등
- 장애학
- 정만영 #사운드스케이프#안으며업힌#이정임#김비#박솔뫼#곳간
- 2020 총선
- 뷰티플 마인드
- 미스터트롯
- 조국
- 안으며 업힌 #이정임 #곳간
- 대중정치
- 노인돌봄
- 입신출세주의
- 드라마 연인#여성 수난사 이야기#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초국가적 문화사
- 해피엔딩
- 류장하 감독
- 송가인
- 플렉스
- Today
- Total
alicewonderland
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 부대낌과 상호작용의 정치(보도자료) 파일들 포함 본문
갈무리에서 너무 훌륭한 보도자료를 만들어주셨습니다.
책을 내는 과정 자체가 항상 함께 만드는 새로운 경험이 됩니다. 갈무리의 김정연 팀장님을 비롯하여 여러분들의 노동과 마음을 함께 하며 행복하고 즐거운 출간 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좀 이상하고 아닌 건 "아니다"라고 정확하게 지적해주시고, 또 잘 된 건 "좋다"고 해주시는 편집자님과 편집 팀과 함께 책을 내는 일은 정말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행운이자 행복입니다.
책을 알리는 의미도 있지만, 무엇보다 이런 작업을 해주신 갈무리 편집팀 모두의 노동을 기리는 의미로 기록하고 나눠봅니다.
!!!!2월 25일에는 알라딘 <인문학 스터디>의 하나로 갈무리/다중지성의 정원에서 강연회가 열려요.
2월 25일 7시 30분 서울, 서교동, 다중지성의 정원입니다. 강연 알림은 나중에 또 올리겠습니다.
------
간략한 책 소개와 정리
근대 공론장의 주체에게 젠더화된 타자들은 ‘벌레, 홍수, 떼거리’로, 위협적이며 제압하고 다스려야만 하는 존재로 인지되었다. ‘벌레, 홍수, 떼거리’라는 표상은 문화와 지역을 막론하고 근대 체제에서 정동의 힘이 ‘이성적 주체’와 ‘다스림의 주체’에게 인지되고 포획되는 방식이었다. 이광수나 염상섭 같은 근대 공론장 주체에게 근대 도시를 무너뜨리며 범람하는 ‘홍수’는 식민지 토목 권력의 힘을 통해서 혹은 문명개화를 통해서 반드시 다스려져야 하는 ‘미개’와 ‘야만’의 상징이었다.
미투 운동의 도래는 이러한 의식주체의 정신혁명과 대결해온 페미니즘 정치사상과 발본적 유물론의 궤적 속에서만 이해가 가능하다.
정신혁명의 상속과 계승이 ‘혁명’의 자리를 독식하는 바로 이 시점에서 봉기한 미투 운동이야말로 지금까지 한 번도 도래하지 않은 신체의 유물론 정치, 그 발본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
이 책에서 역사적 분석은 바로 여성의 연결과 연결을 통해 발생하는 힘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가치 정립하기 위한 실천적 시도이기도 하다.
여성이 모이면 힘이 세지고, 그 힘이 무언가를 파괴한다고 인류 역사를 통해 반복해서 인식했다는 말은, 달리 말하면 그만큼 여성에게 잠재된 힘이 무한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아무리 무한한 힘을 지니고 있어도, 그 가치가 매도되고 평가절하되는 일이 ‘일상’이 되고 자연스러운 일이 되면, 그 누구도 스스로의 힘을 긍정할 수 없다.
그래서 무엇보다 먼저 바로 여성의 힘을 파괴적인 것으로 매도하고 평가하는 그 가치부여의 체계 그 자체를 전복해야만 한다.
이 책은 여성의 힘을 파괴적으로 매도해온 과정에 대한 역사적 해석을 통해 여성의 힘을 평가하고 가치부여하는 이론적인 전복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소수자 운동의 새로운 가능성을 실천적으로 타진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페미니즘이 다시 부상한 시대라고 하지만, ‘미투운동’은 음모론, ‘꽃뱀론’으로 여전히 매도된다. 기존 권력 구조의 지배적 카리스마를 비판하는 성폭력 고발운동은 ‘진보 진영’을 파괴하려는 음험한 힘으로 모욕당한다.
여성차별적인 담론 구조를 비판하는 목소리는 ‘군중 검열’이나 무지몽매한 ‘메뚜기 떼’가 자행하는 ‘지식 테러’라고까지 공격받는다.
평생 ‘위안부’ 문제를 고발하고 전시성폭력을 비판해온 위안부 피해자들에게도 유사한 공격이 반복된다.
이 책은 현재 진행 중인 페미니즘 운동, 차별 반대 운동과 이에 대한 공격과 매도를 여성의 힘에 대한 공포가 축적된 역사의 지평에서 해석한다.
------------------
여성의 힘에 대한 공포는 역사적으로 소수집단의 힘을 억압하는 패러다임으로 확산되었다.
부르주아 남성은 모여서 ‘민주주의’를 만들지만, 하층 남성은 모이면 ‘사회질서를 파괴한다’고 매도되었고, 서구의 백인 주류 집단이 모인 광경은 민주주의의 ‘장관’으로 보이지만, 비서구 비백인 집단이 모인 장면은 ‘난장판’이나 잠재적 테러집단의 떼거리로 공포를 자아내는 우려스러운 문제적 현장이 된다.
근대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공론장은 모여서 힘을 만드는 것이 정당화된 집단에 의해서만 구성 가능한 것이었다.
이성과 성찰의 주체는 모여서 민주주의를 만들지만, 정체를 알 수 없는 떼거리들은 모여서 파괴적인 ‘군중심리’를 형성할 뿐이다.
성찰적인 공론장 주체와 파괴적인 군중이라는 범주의 차별적 구성은 여성, 하층 남성, 비백인 인종 집단 등 소수 집단의 집합적 힘을 가치 절하하고 근절하는 ‘합리적 근거’가 되었다.
오늘날 페미니즘이 ‘공론장’을 파괴하는 폭도나 ‘극단주의’, 잠재적 범죄자라고 공격하는 논리는 그런 점에서 전혀 새롭지 않은 역사의 반복이다.
'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 부대낌과 상호작용의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과학 북클럽 (0) | 2019.04.18 |
---|---|
갈무리 강연 (0) | 2019.03.27 |
집합적 표상에서 존재의 단수성으로, 페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나아가기 (0) | 2019.02.20 |
운동과 범죄: '여자떼'의 역사를 복원할 수 있을까? (0) | 2019.02.18 |
여자떼 공포, 젠더어펙트: 듣고 읽기-낭독 (0) | 2019.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