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한상균
- 권영국
- 2020 총선
- 드라마 연인#여성 수난사 이야기#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초국가적 문화사
- 조국
- 대중정치
- 류장하 감독
- 녹색당
- 입신출세주의
- 2025년 대선
- 민주노총
- 미스터트롯
- 정의당
- 젠더비평
- 노동당
- 사회대전환연대회의
- 장애학
- 노인돌봄
- 안으며 업힌 #이정임 #곳간
- 뷰티플 마인드
- 정도적 불평등
- 해피엔딩
- 미스트롯
- 송가인
- 정만영 #사운드스케이프#안으며업힌#이정임#김비#박솔뫼#곳간
- 플렉스
- Today
- Total
alicewonderland
The Pulse in Cinema, 서울의 봄 연구자료 본문
The Pulse in Cinema: The Aesthetics of Horror 1st Edition
When we think of the pulse in cinema, we may think of the heartbeat of the spectator as they respond to affective or moving scenes in the film, or how fast-paced and shocking images exacerbate this affective response. Conceptually extending cinema spectatorship, The Pulse in Cinema contends that cinema is an energetic arrangement of affective and intense forces, where the image and the spectator are specific components. Analysing body horror films such as The Tingler (1959), Dawn of the Dead (1978) and The Beyond (1981), this book builds on Lyotard’s concept of the dispositif, Deleuze’s work on sensation and Bataille’s economic theory to conceptualise a pulse in cinema, arguing for its importance in cinema spectatorship theory.

'연결신체이론 > alien aff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의 봄> 단체 관람 고발, 성명 낸 교원단체도 고발 (0) | 2023.12.22 |
---|---|
영화의 맥박, 서울의봄의 심박수 챌린지 연구 노트: 극장성의 위기와 스마트 미디어 (0) | 2023.12.21 |
서울의 봄, 정동 경제 (0) | 2023.12.14 |
서울의 봄, 정동 경제 (0) | 2023.12.12 |
한국영화가 생각하는 한국영화 (0) | 202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