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licewonderland

2018 젠더어팩트 스쿨 커리큘럼 업데이트용 본문

젠더어펙트연구소/젠더어펙트스쿨

2018 젠더어팩트 스쿨 커리큘럼 업데이트용

alice11 2018. 7. 7. 18:34

2018년 젠더 어팩트 스쿨 커리큘럼 업데이트 


공지된 커리와 진행하면서 상세 커리 공개한 것을 보완해서 정리함.

 참석한 분들이 <젠더어팩트 스쿨>이라는 이름이 딱 맞는다고, 이런 스쿨을 열어줘서 감사한 마음이 든다하셔서


모든 피로가 가신 느낌이었다.(하지만 엄청 피곤한 건 사실 ㅠㅠ)


계속 '올해까지만 해본다'라고 되뇌면서 피곤하거나, 힘들거나, 회의감이 들 때 스스로를 다독여본다.


'올해까지만 해보는 거야.'





〈1부 : 집, 공간, 젠더〉
1주 : 세미나 개괄과 연구원 발제·토론
기조발표 : 거주공간의 변화와 젠더(신아영,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기본자료 : 『혼자 살아가기』(송제숙)
2주 : 세미나
기본자료 : 『나, 독립한다』(김희수 외)
참고자료 : 영화 《소공녀》, 《이월》. 《스틸플라워》

1) 공지된 자료
김희수 외, 『나, 독립한다』, 일다, 2007. 
영화 〈소공녀〉(전고운, 2017), 〈이월〉(김중현, 2017), 〈스틸플라워〉(박석영, 2015)

2) 젠더 & 스케일 관련 자료
정현주,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대학지리학회지』 51권 6호, 2015.
황진태·정현주, 「페미니스트 공간연구에 다중스케일적 접근 접목하기」, 『대학지리학회지』 50권 1호, 2015.
이현재, 「여성, 이주(移住)와 정주(定住) 사이: 여성의 이주, 다층적 스케일의 장소 열기 그리고 정체성 저글링」, 『여성문학연구』 22권, 2009.
정현주,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대학지리학회지』 43권 6호, 2008.

3) 영화 관련 자료
계운경, 「〈외박〉과 〈카트〉의 여성노동운동과 공간」, 『현대영화연구』 23권, 2016.
김미영, 「외도를 통해 본 여성의 몸: 영화 〈밀애〉와 〈경축, 우리사랑!〉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49집, 2010.8.
이대범, 「‘집’ 나온 여성들의 발화: 〈미몽〉, 〈자유부인〉을 중심으로」, 『씨네포럼』 24호, 2016.
김경녀·박형준, 「한국영화에 재현된 국제이주 여성의 ‘난민화’ 양상 연구: 영화 〈파이란〉, 〈미씽-사라진 여자〉, 〈해무〉를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2017년 하반기학술대회 자료집, 2017.
조흡, 「〈소공녀〉: 취향의 정치학」, 『대한토목학회지』, 66권 6호, 2018.(*영화 내용을 알 수 있는 자료)
박석영·이도훈, 「스틸 플라워」, 한국독립영화협회 간행물, 2016.(시놉시스와 연출의도)

4) 여성 & 공간 관련 자료 : 3주차 발표에 대한 예습 자료
이현재, 「성적 타자가 인정되는 도시공간을 위한 시론: 매춘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10권, 2008.
이현재, 「여성 ‘공간’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텅 빈 공간에서 가임의(pregnant) 코라 공간으로」, 『젠더와 문화』 5권 1호, 2012.
이현재, 「코라(chora) 공간으로서의 도시와 여성주의적 도시권의 가능성: 깁슨-그래함의 『자본주의의 종말』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2권 1호,

3주 : 연구원 주제발표와 세미나
주제발표 : 소설에 나타난 여성공간의 계보학(신아영,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기본자료 : 『헤테로토피아』(미셸 푸코)
참고자료 : 관련 문학작품 및 학술논문 추후 공지

주제발표 : 소설에 나타난 여성공간의 계보학(신아영,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기본 자료 :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참고 자료 : *첨부된 논문 네 편
박기순,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 문학적 기원에 기초한 미학적 해석, 美學, Vol.83 No.1,2017.

유진월, 나혜석의 탈주 욕망과 헤테로토피아, 인문과학연구, Vol.35, 2012.
임안나,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이주 공간,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6, 2016.

임정연, 1950-80년대 여성 여행서사에 나타난 이국 체험과 장소 감수성, 국제어문, Vol.61, 2014.


4주 : 연구원 주제발표와 세미나
주제발표 : 로컬리티 연구에서 젠더지리학적 전환의 의미(권영빈,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기본 자료 : 김원, <여공 1970>, 이매진, 2006(개정판) 中 1, 2, 3장

발제자 신아영, 하지우

참고 자료 : 논문


김대성, 「해방의 글쓰기-1980년대 노동자 "생활글" 재론」,『大東文化硏究』86, 2014.

김대성, 「역사적 합창으로서의 노동자 글쓰기」,『문화과학』90 2017.5.

발제자 강하은

오자은, 「'문학 여공'의 글쓰기와 자기 정체화: 여공 수기와 소설에 나타난 자기 정체화와 문학의 의미」,『한국근대문학연구』19, 2018.4.

발제자 주선우




〈2부 : 가족 이데올로기와 젠더〉
5주 : 세미나
기본자료 : 『페미니즘, 왼쪽 날개를 펴다』(낸시 홈스트롬)
참고자료 : 관련 문학작품 및 학술논문 추후 공지
6주 : 세미나
기본자료 : 『딸에 대하여』(김혜진), 『남자 혼자 죽다』(성유진 외)
참고자료 : 관련 문학작품 및 학술논문 추후 공지
7주 : 연구원 주제발표와 세미나
주제발표 : 포스트휴먼과 여성·가족의 표상(하지우,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기본자료 : 『한국 영화에 재현된 가족 그리고 사회』(강성률), 『신 가족의 탄생』(친구사이 외)
참고자료 : 『한국 여성 가족 사회변화 70년』(장미혜 외)

<7주차 세미나 안내>


*연구원 주제발표
발표1 : 포스트 휴먼과 여성·가족의 표상(하지우,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발표2 : 중공업 가족과 삶의 반경에 대한 다중스케일적 연구-경남지역 산업단지를 사례로(신현아,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 세미나 자료
친구사이·가구넷, <신 가족의 탄생>, 시대의창, 2018.
배은경,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여성, 모성, 가족계획사업>, 시간여행, 2012.

* 세미나 발제
최슬기 : <신 가족의 탄생>
신아영, 권영빈 :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1, 2, 3장/4, 5장


! 미리 공지되었던 자료인 <한국 영화에 재현된 가족 그리고 사회>(강성률)와, <한국 여성 가족 사회변화 70년>(장미혜 외)은

세미나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주제발표, 그리고 세미나의 제한된 시간과 소화할 수 있는 분량을 고려하여

위에 소개된 자료로 대체하였습니다. 그러나 모두 재미있고 훌륭한 자료들인 만큼 각자 참조하시어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부 : 여성과 몸〉
8주 : 연구원 주제발표와 세미나
주제발표 : 탈코르셋 운동과 여성의 꾸미기 미학(주선우,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기본자료 : 『거울 앞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냈다』(리네이 엥겔른)
참고자료 : 『외모 꾸미기 미학과 페미니즘』(김주현)
9주 : 세미나
주 제 : 난민과 지정학의 젠더정치 - 소수자의 몸둘 바
기본자료 : 『우리 곁의 난민』(문경란)
참고자료 : 『비장소』(마르크 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