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alicewonderland

경제 위기와 폭력적 언어 유희 본문

에세이들

경제 위기와 폭력적 언어 유희

alice11 2014. 11. 24. 21:45

<원문은 여기>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41124000115






경제·언어·정동의 흐름과 불황의 책임

 

권명아

 

대공황, 경제를 잃고 적을 얻은 시대

대공황이 다시 오는가? 경제학자들도 이에 대해 쉽사리 예측하지 못한다. 역사적으로 대공황은 파시즘의 득세와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다. 문화사적 자료를 참조해볼 때 대공황의 시대는 격렬한 휘발성의 시대였다. 이 시대 사람들에게 대공황은 마치 세계가 격렬하게 휘발되고 있는 것 같은 공포로 다가왔다. 쓸모없는 종이더미가 된 지폐 다발들이 상징하듯이, 대공황은 기존의 물질적인 경제적 토대를 휘발시켜버렸다. 그런 점에서 이 시대의 휘발성이란 단지 상징만은 아니다. 무엇보다 이 시대가 격렬한 휘발성의 시대였다는 것은 아주 작은 불씨에도 금세 불타올라버렸다는 의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정체가 모호한 을 향해 불타오르는 증오와 적대감은 대공황 시대의 정동(affect)이었다.

이런 점에서 히틀러는 대공황 시대의 전형적 산물이다. 히틀러와 파시즘이야말로 이 세계를 격렬한 휘발성으로 불태워버리고자 했으니 말이다. 격렬한 휘발성은 파시즘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파시즘 시기 언어는 내용, 의미, 가치, 구체성, 책임성과 같은 실체를 상실한다. 프리모 레비는 이러한 언어의 폭력적 변형이 파시즘의 특이성이라고 지적한다. 이러한 현상을 찰리 채플린은 영화 <위대한 독재자>에서 흥미롭게 묘사하였다. ‘연설광이었던 히틀러가 적에 대한 증오와 선동으로 가득 찬 언어를 구사할 때, 말은 내용과 의미를 상실한 이상한 소음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불황의 책임을 묻고 언어를 살피는 일

경제 불황의 근본 문제를 해결하는 대신, 낯익은 을 불러내어 책임을 전가하는 소란이 잦아진다. 경제는 황폐해지고 사회 갈등이 고조되고, 공동체의 위기는 해결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버린다. 오늘날 우리는 곳곳에서 이러한 격렬한 휘발성의 증상과 마주한다. 경제 논리를 정치로 환원하는 것을 넘어서, 이제 경제는 을 비난하는 폭력적 언어 속에서 휘발되어 사라져버렸다.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하듯이 대공황은 막을 수 없는 게 아니었다. 오히려 당대 집권 세력들이 경제 불황을 해결할 실질적 대책을 무시하고, 책임을 전가하기 위한 적대와 증오의 말들로 그 책임을 휘발시켜 버린 결과 대공황이 도래한 것이다. 그리고 그 휘발된 언어에 휩쓸려버린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은 너무나 가혹한 대가를 치러야했다.

2014년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 경제 불황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누구도 그 책임을 지지 않는다. 집권 세력은 매번 낯익은 적을 불러내어 책임을 전가할 뿐이고, 이제는 언어의 폭력적 변형에 스스로 매혹된 것처럼 보인다. 평범한 사람들은 불황의 고통을 매일매일 감수하고 살아야 하고, 거기에 더해서 폭력적이고 무책임한 언어의 향연을 관람해야하는 참담함까지 감내해야 한다. 한편 무책임한 휘발성의 언어가 발산하는 적대의 향기에 심취한 이들은 앵무새처럼 을 공격하는 말로 현실의 고통을 해소한다. 그러나 바로 그 순간, 그들은 자신의 주머니 속 화폐다발의 가치도 해소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2014년 겨울,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세상은 마치 시끌벅적하고 분노로 가득한 소리들이 넘쳐나지만 무의미한 영화와도 같다. 과거나 현재나 대공황이란 경제와 언어와 정동의 특별한 결합물이다. 경제 위기의 실질적 해결과 책임이 폭력적 언어유희에 전가되어버린 결과 우리 사회는 경제를 잃고 대신 적대의 언어만을 얻게 되었다. 따라서 경제를 파괴적 언어유희로부터 구출해야만 경제 불황에 대한 책임도 물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 언어의 가치를 살피는 일이야말로, 경제 불황의 긴 터널에서 빠져나가는 출발점이라 할 것이다. 지금이야말로, 언어라는 문, 그 탈출구를 점거할 시간이다. 문은 이미, 항상 거기에 있다.

귀청이 터질 듯한 배경 소리에 잠겨 허우적대는, 이름도 얼굴도 없는 사람들의 난리법석, 그럼에도 그 위로 인간의 말은 떠오르지 않는 영화. 잿빛과 검은 빛의 영화, 유성영화인데도 말이 없는 영화.” 목청을 높여 적들을 물리칠 것을 외치고 마치 적을 마주한 듯이 괴성을 지르며 법석을 떠는 어떤 종편 채널의 소리를 뒤로 하며, 수용소로 들어가는 것은 바로 폭력적 언어로 가득 찬 세계에 무기력하게 끌려들어가는 일이었다는 프리모 레비의 말을, 아무 소용없이 떠올려본다. 겨울이 다가온다. 모두 무사하고 안녕하시길 마음 깊이, 그러나 역시 아무 소용없이 빌어본다.

 

'에세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의 추억  (0) 2015.10.17
전체주의와 '미숙한 청소년'  (0) 2015.10.17
아까운 시간들  (0) 2015.10.16
무상급식과 유턴정치  (0) 2014.11.20
혐오발화와 표현의 자유: 부일시론 2014 08 26  (0) 201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