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5년 대선
- 정도적 불평등
- 녹색당
- 노인돌봄
- 정만영 #사운드스케이프#안으며업힌#이정임#김비#박솔뫼#곳간
- 대중정치
- 민주노총
- 안으며 업힌 #이정임 #곳간
- 사회대전환연대회의
- 미스터트롯
- 류장하 감독
- 권영국
- 한상균
- 송가인
- 뷰티플 마인드
- 플렉스
- 조국
- 노동당
- 미스트롯
- 입신출세주의
- 정의당
- 2020 총선
- 젠더비평
- 드라마 연인#여성 수난사 이야기#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초국가적 문화사
- 해피엔딩
- 장애학
- Today
- Total
목록혐오발화아카이브 (205)
alicewonderland
http://www.latimes.com/opinion/opinion-la/la-oew-ma18-2009nov18-story.html What's really at issue in the Koreatown-Little Bangladesh disputeBy BY EILEEN MA AND PREETI SHARMANOV 17, 2009 | 4:40 PM Steve Lopez's Nov. 8 column about naming a part of Koreatown "Little Bangladesh" trivializes an important issue for a newer immigrant community struggling for acceptance and recognition in Los Angeles. ..
2018년 6월 8일 이주민 단체 공동 성명서http://www.mihu.re.kr/notice-2/20180608/ 법무부, 예멘 난민을 제주도에 가두다 6월 13일 청와대 난민 거부 신청 청원 시작 6월 18일 20만 돌파 http://news1.kr/articles/?3347728 6월 16일 청원 삭제 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849414.html 게토를 만들어서 차별을 가두면, 차별의 여러 구조적 역학은 보이지 않고, 소수자끼리, 차별받는 집단끼리 싸움으로 전가되거나, 그 점만이 오롯이 부각된다.난민 추방 혹은 난민 거부를 종용하는 혐오선동이 소수자 정치 이름으로 논의될 수도 없지만, 이런 소수자들의 '맹목'만 강조하는 것 역시 중요한 지점을 가..
헤이트 스피치와 공간 구획, 냉전 게토의 영토화와 재영토화의 역학. 작업 당시 관심을 갖고 조사했던 국제철도협력기구 가입 사례. 김대중 정부의 햇볕 정책에서 시작된 연결 기획....박근혜 정부가 '통일 대박'을 외치며 얻어내고자 했고 중국이 기권하는 대신 북한의 동의를 얻어야 했으나, 결국 당연히 얻을 수 없어, 계획은, 조용히 물건너가고, 대신 으로 급선회했던........부산영남을 중심으로한 TK 예산 폭탄으로 영남권 중심으로 유라시아 철도 연결 구획을 시도했던 박정권. 이 계획이 성립되었더라면 호남은 영원히 글로벌 게토가 될 수 있었다고 보인다.지금 정부가 강조하는 H 라인 계획은 그런 점에서 대조적이긴 하다.그런데, 그러나 궁금한 것은, H라인 계획은 아직 구체화되거나 확실하지 않고, 아래 기사의..
"학교가 왜 속옷 색깔까지 정하나요?"조소희 기자 sso@busan.com 입력 : 2018-06-05 [19:32:45] | 수정 : 2018-06-06 [13:09:42]가-가+부산 유락여중 학생들이 '검정 속옷을 입으면 안 된다'는 학칙에 반대하며 지난 4일 GCDA(Girls Can Do Anything) 등의 문구가 적힌 포스트잇을 학교 곳곳에 나붙이는 운동을 벌였다. 유락여중 학생 제공부산 동래구 유락여중 학교 계단과 건물 벽에는 지난 4일부터 포스트잇이 한가득 나붙기 시작했다. 포스트잇에는 'GCDA(Girls Can Do Anythig)'라는 글귀부터 '속옷 규제 대신 제대로 된 성교육을 해 달라' '성차별 발언을 일삼는 교사를 그대로 놔두지 말라'는 내용의 글귀가 빼곡하게 적혔다. 학생들..
1. 김숨의 과 함께 산업단지의 삶과 종말, 그리고 그 이후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는 작품.숨 막히던 2016년 거제도의 여름이 기억난다. 그러나 는 그 시절을 단지 숨 막힘으로 기억하고 서사화하지 않는다. 물론 낭만적 낙관으로 채색하지도 않지만.** 학생들과 와 에 나타난 지방-청년 표상에 대해 오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의외로 를 재미있게 본 학생들이 많았다. '그냥 재미있었다'는 평이 대부분이고. 힐링 영화 같다는 평도 많았다. , , 등 씨제이 표 '오지 투어 요리 프로그램'과
'밤새 안녕'이란 말이 실감나는 시절입니다.북미회담 취소 사태로 저도 밤새 속보를 찾아보며 어수선한 밤을 지새웠습니다.계속해나간다는 것, 버티고 대결해가는 일의 어려움과 위대함을 다시금 생각합니다.이름을 다 알지 못하는 페미니스트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버티며 오늘도 싸우고 버티며 조금씩, 엄청난 변화를 만드는 이들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해보고 싶었습니다.잘 아시다시피 최근 여러 사건을 계기로 페미니즘에 대한 공격이 더 강해지고 있습니다.관련한 인터넷 여러 사례를 조사하면서 반페미니즘 증오선동의 공격성, 분노에도 심각성을 느꼈지만그 엄청난 증오 앞에서 의연하게, 실명으로 대응하고 비판하고 싸우는 무수한 존재들에 경의로움을 느꼈습니다.백래쉬나 증오에 초점을 두기보다,이에 맞서 싸우는 그녀들을 기록하는 것이..
문단 성폭력 사건을 음모론으로 접근하면서 몽매를 질타하는 논의가 무성하다.나름 꽤 열심을 부린 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사회에서 탈냉전 시기 이후 성폭력을 다루는 방식은 거의 언제나 음모론이 지배적이었다. 그 형식은 조금씩 다르지만.그간 이 음모론이 공식 자료로 기록으로 남은 건 별로 없는데.2018년 음모론을 주장하는 담론 상황을 담은 자료도 공식 글로 나왔으니, 역사 기록 차원에서는 진전이라고 보아야 하나? 씁쓸하지만 말이다.훗날 이 자료들이, 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되길 바란다.몇번 마감 중이라고 알려드린 원고에서, 이에 대해 논의했다.꽤 오래 붙들고 있던 화두이고, 성폭력을 비롯한 노예화와 음모론의 상관성, 즉 노예적 주체화가 음모론의 형식으로만 공론장에 나타나는 이유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
문단 내 성폭력 관련해서 페북에 링크를 하면 특히나 페북 지인들은 검열을 하는 것 같다. 흥미로운 현상. 이 검열에 작동하는 여러 요인이 있겠으나, 그건 또 생각해보자. 마감에 마감 수정후 개제 불가이후 사태에도 대처해야하지만, 어깨 통증의 와중에 그래도 정리해둠. 어제 오늘 작가회의 총회 뉴스가 나왔는데. 작가회의에는, 전성태씨가 사무국장이던 시절 젊은 문인을 많이 모아서 분위기를 바꿔야한다는 설득에 반/동의해서 가입했으나 형식적으로 이름을 넣어둔 상태라, 이제라도 탈퇴를 해야하나 싶다. 감독협회 제명은 엄청난 타격이 있는데, 작가회의는 왜 유사한 형식의 제재나 역할을 못하나.영화, 출판은 그래도 산업으로서의 계약, 독과점, 노예계약, 착취에 대한 최소한의 논의 기반이 만들어졌으나문학은 '신성한 문학'..
일드 마더를 본지 오래라 기억에 의존했었는데, 다시 찾아 시놉을 보니, 일드에서도 임시 교사인 그녀는 버린 엄마와 기른 엄마가 있었다. 물론 기른 엄마가 한국판처럼 데우스엑스마키나로 모든 걸 해결해주지는 않지만. 버린 엄마가 이발소를 하는 것도 같은 설정이었네. 학대라는 표현, 아동 학대, 노인 학대 등은 아동이나 노인이 부양 대상이고, 부양자가 제대로된 부양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여서 이미 아동이나 노인을 피부양 대상자로 한정하는 것이라, 가정 폭력이라고 써야 한다는 논의도 이미 오래 전에 제기됨. 일드를 다시 보고 비교할 정도로 여유는 없을듯하다. 그냥 그런대로 두는 감상 --------------- 짬을 내어 드라마 마더를 찾아본다. 일드 를 보면 학대받는 존재, 흔히 만나기 어려운 이른바 판단력이 ..
18, 209문단내 성폭력 해시태그 운동과 참고문헌 없음의 우여곡절 와중에도이 사건을 통해 무엇을 만들어나가야 하는지 생각하고 언어화하는 것을 멈추지 않고, 계속 말을 찾아간 탈선, 그리고 우롱 센텐스.넘쳐나는 어떤 말들보다, 이 인터뷰의 말들을 들어보시라고 권하고 싶다.해시태그 운동과 참고문헌 없음 기획 중에도고 언제나 요구했던 이들.탐라에 넘치는 한탄, 언론의 과도함, 오해, 반성 어느 말 중에도이들의 말에 대해 들려주어야 마땅할 말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1. 억울함도 해소해야겠지만, 명예훼손 우려로 징계 공표조차 어렵다면, 그 과정에서 이후에는 어떤 조치가 적절하다고 논의가 되었을까. 알 수 없다.2. 작가회의가 유명무실한 기관이라면, 이후 문단의 내부 문제는 어디서 감독해야 하나. 이에 대한 논의..